본문 바로가기
개발/Network

라우팅

by BellOne4222 2024. 1. 30.

CH3.07. 라우팅


네트워크 계층 장비 - 라우터

  • 라우팅 : 패킷이 이동할 최적 경로 설정, 해당 경로로 패킷 이동
  • 라우팅 프로토콜 : 라우팅을 수행하는 방법
  • 홉 : 라우터와 라우터 간의 패킷 이동 과정
  • 홉 바이 홉 라우팅 : 최종적인 호스트 까지 패킷을 한 홉씩 건너가며 전달하는 과정
  • 디폴트 게이트 웨이 : 같은 네트워크(LAN, 사설 네트워크)내의 호스트가 가장 먼저 인터넷에 뻗어나가기 위해 거치는 호스트

라우팅 테이블

  • 특정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한 정보를 명시하는 표와 같은 정보
  • 대표적인 정보 : 목적지 주소, 서브넷 마스크, 게이트 웨이(다음 홉 위치), 인터페이스(내보낼 곳), 메트릭(경로 선택에 따른 비용)
  • 롱기스트 프리픽스 매치 : 여러 라우팅 테이블 항목과 일치할 경우 가장 길게 일치하는 항목 선택 후 패킷 전송(2진수로 변환 후 일치 범위 확인)
  • 디폴트 라우트 : 합치되는(일치되는) 경로가 없을 경우 기본으로 내보낼 경로(0.0.0.0/0)

라우팅 테이블이 만들어지는 방법

  • 정적 라우팅 : 수동으로 라우팅 테이블 항목 채워넣기(IP 주소 정적 할당과 유사), 라우팅의 부하가 적다., 라우팅 경로가 유동적이지 않다.
  • 동적 라우팅 : 자동으로 라우팅 테이블 항목 채워넣기(라우팅 프로토콜) → 경로 우회 가능 → 라우팅 프로토콜이 우회 및 경로 결정

라우팅 프로토콜

  • AS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(IGP): RIP(거리 벡터 활용, 홉수 기준), OSPF(링크 상태 활용, 링크 상태 데이터 베이스 라우터의 상태, 연결 상태, 비용 등을 저장, 변경될 때 마다 업데이트) ( 내부에서 라우팅)
  • AS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(EGP): BGP ( 다른 호스트로 라우팅 할때 외부에서 라우팅)
  • AS : 동일한 라우팅 정책으로 운영되는 라우터 들의 집단 네트워크

'개발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CP와 UDP  (0) 2024.01.30
포트  (0) 2024.01.30
IP 주소의 분류  (0) 2024.01.30
IP 주소  (0) 2024.01.30
ICMP  (0) 2024.01.30